본문 바로가기

공부공부/도커 컨테이너

(5)
docker vmware에 일시정지 (suspend)후 오류 vmware환경에서 docker 실습을 많이 하는데 아무래도 vmware다 보니 os 를 사용하고 완전히 끄는게 아니라 일시 정지만 시켜놓고 다음날 다시 실습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다음 날 실행했을 떄 실행이 안될때가 있다. docker ps -a 로 보면 분명히 실행이 잘되가고 있다 하지만 ifconfig로 확인을 해보면 docker0은 ip가 부여받지 않고 있다 이럴 경우 해결법은 간단하다 껏다 키는것이다 실습 os를 껐다가 키는 방법도 있겠지만 sudo service docker stop 이런식으로 프로세스를 껏다가 키는 방법도 있다. 다시 실행을 한 후 ifconfig 으로 확인을 하면 ip부여가 다시 된것을 확인 할수 있다. 물론 껐다가 키는 것이니 컨테이너 내부에 휘발성 데이터들은 날라갈수 ..
docker로 mysql 맛보기 먼저 외부 저장소 (볼륨)을 이용할 예정이기 때문에 볼륨을 먼저 생성한다 그리고 허브도커에 접속을 해서 mysql을 확인해보고 메뉴얼을 본다 mysql 설치하기! \ 는 명령어가 너무길어질거 같아서 역슬래시를 통해 줄바꿈을 하는것이다. -e 옵션은 환경설정하는 부분이다. 그렇다면 해당 컨테이너에 접속을 한번 해보자 비밀번호는 asdf로 접속이 정상적으로 잘 이루어졌다 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정말 쉽게 완료가 되었다 !
도커 볼륨 생성 및 활용 도커를 활용하다 보면 다양한 이유로 서버(컨테이너)가 죽을수도 있고 떄론 재시작을 해야할 경우가 있다 이렇게 재시작을 하는 경우 특정 파일들이 날라가 있을수도 있다. 그래서 백업을 해놔야 한다 컨테이너 안이 아닌 외부에다가 볼륨(저장소)을 따로 생성을 시켜놓아서 동기화를 하는 것이다 볼륨 생성 및 조회 docker volume create 생성할볼륨이름 docker volume ls 볼륨 상세 정보 docker inspect 볼륨이름 자세한 정보를 볼때 inspect 옵션을 이용하면 되는데 이떄 주목해야 하는 부분은 Mountpoint 이다 해당 하는 곳은 데이터들이 저장되는 곳이다 도커 실행 및 마운트 연결 및 확인 docker run -itd --name=컨테이너이름 -p 외부포트:내부포트 -v 볼륨..
허브 이용해서 업로드 및 다운로드 해보기 깃허브 처럼 코드를 올리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 전 게시물에 명령어들이 마치 깃허브와 비슷하다고 했는데 이것도 어느정도 비슷한거 같다. 본인이 다운로드 한 컨테이너 이미지를 수정을 해서 올릴수도 있고 아니면 본인 os를 업로드를 할수 있다 . 그럴려면 당연히 hub.docker.com에 계정이 있어야 겠다 https://hub.docker.com/ Docker Hub Container Image Library | App Containerization Deliver your business through Docker Hub Package and publish apps and plugins as containers in Docker Hub for easy download and deplo..
docker 맛보기 이용해보기 컨테이너는 가상머신에서 os를 다루는것과 비슷하지만 다르다 일단 가상머신에 돌리는것처럼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것이 아닌 호스트 os에서 실행을 시킨다 즉 가상머신처럼 완전히 분리된 곳에서 실행시키는것에 비하면 보안에 취약하다고 할수 있다 그리고 가상머신은 윈도우에서 리눅스를 돌릴수 있지만 컨테이너는 무조건 같은 os여야만 한다 이런 컨테이너를 다룰수 있는 툴인 docker가 있다 컨테이너가 무언가 담을수 있는 용기 라면 도커는 항만 노동자 들이라고 할수 있다 먼저 도커를 설치를 하자 설치가 완료 되었으면 ifconfig 를 치면 docker0 라고 생긴것을 확인할수 있다 172.17.0 대역의 ip가 생겼는데 docker를 통해 새로운 컨테이너들을 부를 때마다 172.17.0 대역에 ip가 하나씩하나씩 ..